TS study: 타입 추론(1)

@Troy · January 24, 2023 · 11 min read

🙋‍♂️ 타입추론

타입추론은 타입스크립트가 우리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서 자동으로 타입을 추론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const person = {
  name: 'so',
  born: {
    where: 'asd',
    when: '1233',
  },
  died: {
    where: 'asi',
    when: 'nov,201',
  },
};

// 타입스크립트로 추론된 타입 
const person: {
    name: string;
    born: {
        where: string;
        when: string;
    };
    died: {
        where: string;
        when: string;
    };
}

위 person 예제를 보면서 타입 추론이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타입 추론을 이용했을 때 더 정확하게 타입이 정해지거나, 굳이 명시적으로 타입을 정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타입 구문을 생략하는 게 가독성을 높여준다.

interface Product {
  id: string;
  name: string;
  price: number;
}

// 명시적으로 타입을 다 정한 경우
function logProduct(product: Product) {
  const id: number = product.id;
  const name: string = product.name;
  const price: number = product.price;
  console.log(id, name, price);
}

function logProduct(product: Product) {
  const { id, name, price } = product;
  console.log(id, name, price);
}

위 예제에서 Product interface에서 타입을 이미 정의했기 때문에 굳이 함수 내부에서 정의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면 항상 타입 추론에 맡기면 되는 걸까?

앞서 정리했던 타입시스템을 통해 배웠던 객체 리터럴함수의 인자와 반환값은 명시적으로 타입을 정의해 줄 필요가 있다.

먼저 객체 리터럴의 경우 명시적으로 타입을 정의하면 잉여 속성 체크가 동작해 작성된 타입과 비교해 오타나 오류를 잡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함수의 경우 반환 값을 통해 오류를 막을 수 있다. 다음 예제를 보자.

const cache: { [ticker: string]: number } = {};
function getQuote(ticker: string): Promise<number> {
  if (ticker in cache) {
    return cache[ticker]; // Promise<number>가 아니라 에러
  }
  return fetch(`https://quotes.example.com/?q=${ticker}`)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quote) => {
      cache[ticker] = quote;
      return quote;
    });
}

위 코드는 이미 존재하는 값의 경우 cache 데이터를 가져오고 cache된 값이 없다면 새로 요청하는 함수다. 하지만 cache값이 없을 때 number로 반환되기 때문에 에러를 던져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반환 타입을 명시함으로써 코드 자체적으로 인자를 넣었을 때 결과 값을 예측해 문서로써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명명된 타입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아래 코드를 보자.

interface Vector2D {
  x: number;
  y: number;
}

function add(a: Vector2D, b: Vector2D) {
  return { x: a.x + b.x, y: a.y + b.y }; // {x:number y:number}
} 

function add(a: Vector2D, b: Vector2D): Vector2D {
  return { x: a.x + b.x, y: a.y + b.y };
}

반환값 타입도 동일하게 Vector 2D를 예상했지만 다른 타입으로 반환 값이 추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리해보면 명시적 타입이 필요한 경우는 객체리터럴을 선언해 잉여속성체크가 필요하거나, 함수의 인자와 반환값에 필요하며, 대부분의 경우 타입 추론에 맡겨도 된다고 한다.

📦 다른 타입에 다른 변수 쓰기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이기 때문에 같은 변수에 다른 타입을 할당할 수 있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할당할 수 없다. 이 경우에 다른 타입을 할당하기 위해서 유니온 타입으로 타입을 더 좁힐 수 있다.

let id: string | number = '12-34-56';
id=123;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오히려 string과 number의 공통 메소드만 제공해주는 등 사용하기 더 어려워진다. 차라리 별도로 변수를 나누는 것이 나은 방법이다.

🎈 타입 넓히기

타입스크립트가 타입을 추론할 때는 할당된 값을 통해 할당 가능한 값들의 집합을 유추한다.

interface Vector3 {
  x: number;
  y: number;
  z: number;
}

function getComponent(vector: Vector3, axis: 'x' | 'y' | 'z') {
  return vector[axis];
}

let x = 'x'; 
let vec = { x: 10, y: 20, z: 30 };
getComponent(vec, x); // Argument of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x" | "y" | "z"'

위 예제에서 let x= 'x'로 선언되어 x변수에는 할당할 수 있는 타입을 고려해 string타입으로 추론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x" | "y" | "z"가 필요한 getComponent함수의 인자로 전달 시 타입 에러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let대신 const로 수정할 수 있다. const로 선언하면 x의 타입이 'x'가 되어 타입이 더 좁혀지기 때문에 앞서 발생한 에러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const로 선언하는 방법은 객체와 배열에서는 여전히 문제가 된다. 배열의 경우의 const x= [1,2,3]라고 했을 때 number[]로 봐야할 지 [number,number,number]로 해야할 지 타입추론만으로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명시적 타입을 전달해 주는 방법이 있다. 정확히 내가 원하는 타입으로 정해줄 수 있다.

const arr = [1, 2, 3]; // number[]
const arr2:[number,number,number]=[1,2,3]

두 번째로는 as const 타입 단언을 통해 최대한 좁은 타입으로 추론하는 방법이 있다.

const arr = [1, 2, 3] as const; // readonly [1,2,3] 

🙏 타입 좁히기

null 체크/ undefined 체크

타입 좁히기를 내가 가장 많이 썼던 경우는 null 체크 또는 undefined 체크였던 것 같다. 책에서도 대표적인 예시로 null 체크를 보여준다.

const el = document.getElementById("foo");  // HTMLElement | null
if (!el) throw new Error("Unable to find #foo");
el.innerHTML = "Party Time".blink();

위 예제에서 el값이 null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조건문으로 분기 처리를 해준 것을 볼 수 있다.

instanceof와 내장 함수

instanceof와 내장 함수를 이용해 타입을 좁힐 수 있다. instanceof를 이용 시에 중요했던 점은 런타임 연산자로 prototype chain에 해당 타겟이 있는지 확인하고 값을 확인하는 것을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function contains(text: string, search: string | RegExp) {
  if (search instanceof RegExp) {
    search;
    return !!search.exec(text);
  }
  return text.includes(search);
}

function contains(text: string, terms: string | string[]) {
  const termList = Array.isArray(terms) ? terms : [terms];
  termList
}

속성체크와 discriminated Union Type

또 다른 타입을 좁히는 방법으로 객체 타입의 경우 속성 체크를 이용해 좁힐 수 있고, 공통의 속성의 다른 값을 가지게 하는 discriminated union 구별된 유니온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실제 사용 경험은 속성 체크와 discriminated Union Type은 union Type으로 전달한 props를 분기 처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했다.

interface A {
  a: number;
}
interface B {
  b: number;
}

function pickAB(ab: A | B) {
  if ('a' in ab) {
    ab;
  } else {
    ab;
  }
  ab;
}


interface UploadEvent {
  type: 'upload';
  filename: string;
  contents: string;
}
interface DownloadEvent {
  type: 'download';
  filename: string;
}

type AppEvent = UploadEvent | DownloadEvent;

function handleEvent(e: AppEvent) {
  switch (e.type) {
    case 'download':
      e; // DownloadEvent
      break;
    case 'upload': 
      e; // UploadEvent
      break;
  }
}

사용자 정의 타입 가드

타입을 좁히기 위한 마지막 방법으로 함수를 이용해 내가 원하는 타입으로 좁혀줄 수 있다.

function isInputElement(el: HTMLElement): el is HTMLInputElement {
  return 'value' in el;
}

function getElementContent(el: HTMLElement) {
  if (isInputElement(el)) {
    el; // HTMLInputElement
    return el.value;
  }
  el; // HTMLElement
  return el.textContent;
}

한꺼번에 객체 생성하기

객체를 생성할 때 주의할 점은 동적으로 속성을 추가하기 보다 필요한 속성들을 한번에 생성해야 타입추론의 이점을 이용할 수 있다.

const pt = {};
pt.x = 3; // Property 'x' does not exist on type '{}'.
pt.y = 4; // Property 'y' does not exist on type '{}'.

위 예제에서는 처음 pt가 {}로 추론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했다. 이러한 원칙은 기존 객체 내용을 이용해 새로운 객체를 만들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const pt = { x: 3, y: 4 };
const id = { name: 'Pythagoras' };
const namedPoint = {};
Object.assign(namedPoint, pt, id);
namedPoint.name; // Property 'name' does not exist on type '{}'.

위 예제는 namedPoint는 동일하게 {}를 기준으로 추론이 되어 Object.assign()메소드를 이용해서 속성을 추가해도 에러가 발생되었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spread operator를 이용할 수 있다.

const namedPoint = { ...pt, ...id }; // const namedPoint: {name: string; x: number; y: number;}
namedPoint.name;

정리하며

타입 추론은 엄청나게 편한 부분이지만, 더 정확하고 내가 원하는 타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사용하거나 as const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roy
매일의 시행착오를 기록하는 개발일지입니다.